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019학년도 모의평가4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 한문 영역 16~30번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 제2외국어/한문 영역 중 한문 I의 내용 정리입니다. 내용이 많이 1~15번과 16~30번으로 나누어서 정리합니다. [16~17] 子曰 :“飯疏食飮水, 曲肱而枕之, 樂亦在其中矣, 不義而富且 貴, 於我如㉠浮雲.” * 肱(굉): 팔뚝 - 논어 - 16. ㉠과 짜임이 같은 것 정답 ② 貴賓 ① 霜降(서리 상, 내릴 강): 서리가 내리다(주술) ② 貴賓(귀할 귀, 손 빈): 귀한 손님(수식) ③ 登頂(오를 등, 정수리 정): 정상에 오르다(술보) ④ 遵法(좇을 준, 법 법): 법령을 따르다(술목) ⑤ 希望(발랄 희, 바랄 망): 어떤 일을 이루거나 하기를 바람(병렬) ㉠浮雲(뜰 부, 구름 운): 뜬 구름(수식) 17. 윗글과 관계있는 성어 정답 ① ① 安貧樂道(편안 안, 가난할 빈,.. 2023. 11. 7.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 한문 영역 1~15번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 제2외국어/한문 영역 중 한문I 의 내용 정리입니다. 내용이 많이 1~15번과 16~30번으로 나누어서 정리합니다. 1. ㉠에 해당하는 것 눈바람 몰아치는 밤에 돌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렸죠. 그래서 위쪽에 ‘風雪夜( ㉠ )人’이라고 써 놓았답니다. 風雪夜 눈바람 몰아치는 밤 ( ㉠ )人 돌아가는 사람들 정답 ⑤歸 ①婦: 지어미 부 ②慢: 거만하다 만 ③掃: 쓸다 소 ④停: 머무르다 정 ⑤歸: 돌아가다 귀 2. 모든 조건에 만족하는 한자 음은 '奔'와/과 같아 : 달리다 분 이 글자 뒤에 '業'을 결합하면 '일을 나누어 함'을 뜻하는 말로 쓰여 : 분업(分業) 총획은 '方'과 같아 : 모 방, 총 4획 갑골문으로 이렇게 생겼어 : *이미지1) 정답 ①分 ①分: 나누다 분, .. 2023. 11. 7.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 국어 영역 문학작품 - 한거십팔곡, 추억에서, 홍길동전, 공동 경비 구역 JSA, 비 오는 길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 국어 영역 문학작품 정리입니다. 9월 모의평가에서는 권호문 《한거십팔곡》, 박재삼 《추억에서》, 작자미상 《홍길동전》, 박상연 《공동 경비 구역 JSA》, 최명익 《비 오는 길》이 출제되었습니다. 1. 작품소개 권호문 《한거십팔곡》 작가가 진사가 된 후 자연에 은거하며 쓴 연시조로 제목은 '한가로운 삶을 노래한 18개의 노래'라는 뜻으로 19수의 시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갈래 연시조(전 19수) 화자 지은이 성격 유교적, 교훈적, 은일적 주제 벼슬길(치군택민)로 나아가지 않음에 대한 안타까움과 은둔생활(조월경운)의 즐거움 박재삼 《추억에서》 가난했던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어머니의 고된 삶과 한 그리고 슬픔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갈래 자유시, 서정시 화자 어린시절을 추억하는.. 2023. 10. 30.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 국어 영역 문학작품 - 휴전선, 우포늪 왁세, 주을온천행, 서경별곡, 만분가, 옹고집전, 한계령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 국어 영역 문학작품 정리입니다. 6월 모의평가에서는 박봉우 《휴전선》, 배한봉 《우포늪 왁새》, 김기림 《주을온천여행》, 작자미상 《서경별곡》, 조위 《만분가》, 작자미상 《옹고집전》, 양귀자 《한계령》에 대한 문제가 나왔습니다. 1. 작품소개 박봉우 《휴전선》 이 작품은 남과 북의 분단으로 인한 대립으로 인한 상황을 비판하는 시입니다. 갈래 현대시 화자 남과 북의 분단의 현실과 통일에 대한 염원을 노래 상황 남과 북의 분단 태도 저항적, 고발적 주제 민족 분단의 아픔과 극복 의지 배한봉 《우포늪 왁새》 우포늪은 경남 창녕에 있는 자연 늪지로 수많은 야생 동식물이 살고 있는 곳이다. 작가는 이런 우포늪에서 느낌 감동을 시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갈래 현대시 화자 우포읖 풍경에 .. 2023. 10.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