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학 일반선택3 [2022 개정 교육과정] 수학교과 일반선택 - 확률과 통계 2022 개정 교육과정 수학교과 일반선택 과목인 확률과 통계입니다. 확률과 통계는 공통수학 1, 공통수학 2를 이수한 이후에 수강하는 일반선택 과목으로 배우는 교과입니다. 이번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에서 수학 부분 공통과목인 일반선택과목 중 한 과목입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교과서가 나오진 않았지만, 2022 개정 교육과정 기준으로 내용과 성취기준을 정리합니다. 를 학습한 학생들은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어떤 일을 계획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예측하고 점검할 수 있고,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을 수치화한 확률을 통해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다. 또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추정하는 통계적 과정을 통해 합리적인 정보의 소비자이자 생산자로서 역량을 갖추고 통계적.. 2023. 10. 17. [2022 개정 교육과정] 수학교과 일반선택 - 미적분 I 2022 개정 교육과정 수학교과 일반선택 과목인 미적분 I입니다. 미적분 I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 II가 변경된 교과목으로 공통수학 1과 공통수학 2를 이수한 이후에 일반선택 과목으로 배우는 교과입니다. 이번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에서 수학 부분 공통과목으로 일반선택과목 중 한 과목입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기준으로 교과목 내용과 성취기준을 정리합니다. 수학교과 일반선택 과목 - 미적분 I 내용체계 범주 내용요소 1. 함수의 극한과 연속 ⋅ 함수의 극한 ⋅ 함수의 연속 2. 미분 ⋅ 미분계수 ⋅ 도함수 ⋅ 도함수의 활용 3. 적분 ⋅ 부정적분 ⋅ 정적분 ⋅ 정적분의 활용 성취기준 1. 함수의 극한과 연속 ⋅ 함수의 극한의 뜻을 알고, 이를 설명할 수 있다. ⋅ 함수의 극한에 대한.. 2023. 10. 17. [2022 개정 교육과정] 수학교과 일반선택 - 대수 2022 개정 교육과정 수학교과 일반선택 과목인 대수입니다. 대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 I의 변경된 교과목으로 공통수학 1과 공통수학 2를 이수한 이후에 일반선택 과목으로 배우는 교과입니다. 이번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에서 수학 부분 공통과목으로 일반선택과목 중 한 과목입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기준으로 교과목 내용과 성취기준을 정리합니다. 수학교과 일반선택 과목 - 대수 내용체계 구분 내용요소 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 지수와 로그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2. 삼각함수 ⋅ 삼각함수 ⋅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 3. 수열 ⋅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 수열의 합 ⋅ 수학적 귀납법 성취기준 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의 뜻을 알고, 그 성질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 2023. 10.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