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학교육6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수학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Vs 2015 개정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수학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용을 비교해 보려고 합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수학 영역을 통합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2015 개정과 다르게 영역이 변화되었고, 일부 내용이 추가 또는 이동, 삭제되기도 하였습니다. 수와 연산 수와 연산 학년 2015 개정 2022 개정 1 • 소인수 분해 • 정수와 유리수 • 소인수분해 • 정수와 유리수 2 • 유리수와 순환소수 • 유리수와 순환소수 3 • 제곱근과 실수 • 제곱근과 실수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수학과정 수와 연산에서는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는 자연수의 소인수분해 이용 범위에서만 다루고 그것의 활용 문제는 다루지 않는다'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활용은 삭제되었.. 2023. 9. 18.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수학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VS 2015 개정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수학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용 요소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수와 연산 수와 연산 학년 2015 개정 2022 개정 1~2 • 네 자리 이하의 수 • 두 자리 수 범위의 덧셈과 뺄셈 • 곱셈 • 네 자리 이하의 수 • 두 자리 수 범위의 덧셈과 뺄셈 • 한 자리 수의 곱셈 3~4 • 다섯 자리 이상의 수 • 분수 • 소수 • 세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 자연수의 곱셈과 나눗셈 • 분모가 같은 분수의 덧셈과 뺄셈 • 소수의 덧셈과 뺄셈 • 다섯 자리 이상의 수 • 분수 • 소수 • 세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 • 자연수의 곱셈과 나눗셈 • 분모가 같은 분수의 덧셈과 뺄셈 • 소수의 덧셈과 뺄셈 5~6 • 약수와 배수 • 약분과 통분 • 분수와 소수.. 2023. 9. 18.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수학 공통수학 내용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수학 공통수학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2015 개정 이후 7년 만에 발표된 교육과정입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가장 큰 변화는 고교학점제를 시행한다는 것입니다. 고교학점제는 대학교에서 학생들 각자가 필요로 하는 과목을 수강하고 학점을 이수하여 졸업하는 것과 같은 제도를 고등학교에 적용한 것입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비해 과목수가 늘어나 학생들의 선택의 폭이 조금은 넓어졌다고 합니다. 공통수학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공통과목인 '수학'에 대응하는 교과목으로 공통수학 1, 공통수학 2로 분리되었습니다. 공통수학 1의 내용 공통수학 1은 다항식, 방정식과 부등식, 경우의 수, 행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다항식: 다항식과 연산, 나.. 2023. 9. 15.
영유아 수학교육의 개념 - 3. 측정하기 영유아 수학교육의 개념 중 측정하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측정은 길이, 무게, 부피 등 물체의 양을 다루어 수를 부여하는 것이다. 측정능력이란 길이, 부피, 무게 시간 등과 같은 측정개념을 이해하고, 측정단위와 측정기술을 선택하여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측정개념은 물체의 속정을 할고 길이, 부피, 무게, 시간, 면적을 측정하기 위한 어휘를 사용하며, 순서를 부여하고, 속성에 따라 분류하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측정기술은 비표준 단위 사용하기, 표준화 단위 사용하기, 적절한 측정도구와 단위를 사용하고 어림하기, 측정한 것을 더하고 빼는 능력을 말한다. 영유아는 일상에서 다양한 측정과 관련된 경험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측정활동을 통해 비교하고, 순서를 부여하고, 수를 세는 등의 학습을 할 .. 2023. 9. 15.
영유아 수학교육의 개념 - 2. 공간과 기하 영유아 수학교육의 개념 중 공간과 기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간관계는 공간 안에 물체의 모양이나 형태와 물체 간의 공간적 관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것은 실제 세계와 수학적 관계를 다루는 것을 의미한다. 공간과 위치, 방향, 거리 등 공간에 관한 위상기하와 다양한 모양의 평면도형과 입체도형을 다루는 유클리드 기하 등이 있다. 1) 공간개념의 발달 피아제는 공간개념 획득 단계를 공간개념 발달의 1단계라고 하였다. 이 것은 6~7세에 열리고 닫힘, 안과 밖, 거리와 원거리 등 물체의 속성과 위치가 추상화된다고 하였다. 9~10세에는 한 시점에서 전, 후, 좌, 우 등 위치관계가 파악되는 사영적 공간개념을 가지게 되는 것을 2단계라고 하고 있다. 3단계는 11세 전후에 획득되는 유클리드적 공간개념으로 거리.. 2023. 9. 14.
영유아 수학교육의 개념 - 1. 수와 연산 영유아 수학교육의 개념 중 수와 연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아는 말을 시작하면 수와 관련된 단어들을 사용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영유아가 실제로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뒷 일이다. 영유아는 어떻게 수개념을 습득하는지 살펴보자. 1. 수와 연산 수개념은 수와 연산이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구성된다. 영유아기 수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선 수학적 표상방법과 관계 짓기 및 수체계, 연산의 의미와의 관련성을 이해하고, 계산능력이 발달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수개념에 대한 학습내용은 일대일 대응과 분류, 수세기, 숫자 인식, 더하기, 빼기, 부분과 전체를 통해 알 수 있다. 1) 수관계 이해 (1) 일대일 대응과 분류 한 집단이 다른 집단과 수가 같다는 것을 일대일 대응이라고 한다. 물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 2023. 9. 13.
반응형